All Articles

[CloudNet@] 테라폼 스터디 3주차 - Terraform 상태 격리방안

이 내용은 CloudNet@ 에서 진행하는 테라폼 기초 입문 스터디에 대한 연재글입니다.

스터디에서 사용하는 교재는 Terraform Up & Running 2nd Edition 입니다.


Prerequisites

  • AWS S3
    • 오브젝트를 버킷 단위로 저장하는 클라우드 스토리지
  • AWS DynamoDB
    • AWS에서 제공하는 NoSQL 데이터베이스 서버
  • (스포!) 원격지에 테라폼의 “상태”를 기록하기 위해 사용합니다!

아래에서 3주차 스터디 내용을 공유합니다.

교재의 3장을 다룹니다.

들어가며…

테라폼의 상태 관리에 대해 정리하고자 합니다. 왜 상태관리를 해야하는지, 어떤방안이 있으며 어떤식으로 작성하면 좋은지 작성합니다.

테라폼 상태관리의 필요성

테라폼은 기본적으로 생성한 인프라에 대한 정보를 상태파일에 기록합니다.

  • terraform.tfstate 파일로 기록됩니다.
  • 상태 파일은 프라이빗 API 임에 유의합니다!
    • 배포할 때 마다 테라폼이 알아서 작성하는 파일입니다. 임의로 건들여서는 안됩니다!

본격적으로 테라폼을 도입하고, 코드를 작성/배포하다 보면 자연스럽게 여러 사람들이 작업하겠지요. 그렇다면 자연스레 아래와 같은 요구사항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 상태파일 저장을 위한 “공유 스토리지” 사용 필요
  • 상태파일 잠금(Locking)이 필요
    • 한번에 한 명령만 실행; 경쟁 상태(race condition) 방지 필요
  • 상태파일을 격리가 필요
    • 개발환경, 테스트환경, 스테이징 환경, 프로덕션 환경 등이 잘 분리되어있어야 함

테라폼 상태 공유 방법

운영, 프로덕션 레벨에서 팀 단위로 인프라 구성 코드를 공유하는 방법은 여러가지가 있습니다.

Git 등의 VCS를 이용하면?

  • push/pull 시 실수로 파일을 빼먹거나 해서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버그를 잡은 코드가 다시 들어가거나
    • 그로인해 인프라가 복제되거나, 사라지거나… :scream:
  • 락을 걸 수 없음(terraform apply 에 대한 락을 의미)
    • 한번 한 명령만 실행할 수 없습니다.
  • 시크릿 파일 관리가 곤란함
    • 테라폼의 모든 데이터는 평문으로 쓰임
    • 주요 기밀정보가 평문으로 기록됩니다! :scream: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선, 원격 백엔드를 사용합니다. 1장에서 배운 “backend”의 저장공간을 원격 저장소로 설정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테라폼의 원격 백엔드 를 사용하면?

  • .tfstate 파일을 원격지에 두고 관리할 수 있습니다.
    • AWS S3
      • GCP 클라우드 스토리지
      • Azure storage
      • HashiCorp 사의
        • Terraform Cloud (비싸고 좋고 추천받음)
        • Terraform Pro
        • Terraform Enterprise
      • etc.
  • 본 교재에서는 AWS S3와 DynamoDB의 결합을 이용하여 소개합니다.

테라폼 상태 관리

그렇다면, 원격 백엔드를 활용한 상태관리를 살펴봅시다.

제 3장의 예시를 보면 dev, staging 환경을 S3, DynamoDB로 분리하긴 했지만, 상태파일 자체가 단일인 상황은 막을 수 없습니다. 따라서, 책에서는 상태 격리에 대해서는 두가지 접근법을 함께 사용하기를 제안합니다.

  1. 테라폼의 Workspace (이하 워크스페이스) 라는 개념

    • 복수개의/분리된/이름이 지정된 워크스페이스를 사용하여 상태파일을 격리합니다.
  2. 분리된 파일 레이아웃 지정

    • 개발환경, 스테이징 환경, 실제 프로덕션 환경(!)에 대한 분리를 통해 실수를 방지할 수 있습니다.
    • 디렉토리 구조를 통한 분리를 의미합니다.
      • [예습!] 이는 모듈화 및 테라폼 내의 function 기능과도 밀접한 영향을 가집니다. 필요한 사항에 대해서는 프로그램을 작성하거나 모듈화를 잘 하여 반복되는 코드를 없애자는 것이 주요 골자죠.

상태관리 (1): Workspace 설정

그렇다면, 상태관리를 가능하게 하는 방법 중 하나인 Workspace를 알아봅시다.

테라폼은 기본적으로 default 라는 워크스페이스를 사용합니다. 새 작업공간을 만들기 위해서는 terraform workspace 커맨드를 사용합니다.

그렇다면 워크스페이스를 변경하는 것은 어떤 의미를 가질까요?

  • 다른 작업 공간으로 전환하는 것은 상태 파일이 저장된 경로를 변경하는 것과 같습니다.
  • 작업 공간은 코드 리팩토링을 시도하는 것 같이 이미 배포되어 있는 인프라에 영향을 주지 않고 테라폼 모듈을 테스트 할 때 유용합니다.
  • 다시말해, 새로운 작업 공간을 생성하여 완전히 동일한 인프라의 복사본을 배포할 수 있지만 상태 정보는 별도의 파일에 저장합니다.

상술하였듯, 워크스페이스 지정으로는 문제를 해결할 수 없습니다. 후술할 파일 레이아웃을 함께 지정하여 작업하는 것이 권장됩니다. 어떤 이유로 인해 워크스페이스 만을 사용할 수 없는지 아래에서 설명하겠습니다:

  1. 먼저, 모든 작업 공간의 상태 파일은 동일한 백엔드(예. 동일한 S3 버킷)에 저장합니다. 모든 작업 공간이 동일한 인증과 접근 통제를 사용합니다.
    • E.g., 테스트 환경과 프로덕션 환경이 다른 백엔드를 사용하는 경우, 백엔드에 다른 보안 수준의 통제 설정을 수행하는 것은 불가능합니다.
  2. 코드나 터미널에 현재 작업 공간에 대한 정보가 표시 되지 않습니다. 코드 탐색 시 한 작업 공간에 배치된 모듈은 다른 모든 작업 공간에 배치된 모듈과 동일합니다.
    • 이로 인해 인프라를 제대로 파악하기 어려워 유지 관리가 어렵게 됩니다.
  3. 위 두 항목의 결합된 문제가 발생 할 수 있음. 예를 들면 테스트 환경이 아닌 프로덕션 환경에서 terraform destroy 명령을 실행 할 수 있습니다… :scream_cat:
    • 검증과 운영 환경이 동일한 인증 매커니즘을 사용하기 때문에 위 오류에서 보호할 방법이 없습니다.
  4. 따라서 파일 레이아웃을 이용한 격리를 함께 사용할 것을 권장합니다.

상태관리 (2): 파일 레이아웃을 이용한 구성파일 격리

상태관리 방법 중 또다른 하나는 파일 레이아웃을 잡는 것입니다. 핵심은 아래와 같습니다.

  • 테라폼 프로젝트를 생성하고, 파일레이아웃을 잡습니다.
    • 각 구성파일을 분리된 폴더에 넣습니다(E.g., staging, production, etc.).
    • 필요에 따라 디렉토리 별로에 서로 다른 백엔드 환경을 구성합니다(E.g., S3 버킷 백엔드의 AWS 계정분리).

예시를 위해, 아래와 같은 구조를 가진다고 하죠.

.
├── global
│   └── s3
│       ├── main.tf
│       └── outputs.tf
├── mgmt
│   ├── services
│   └── vpc
├── prod
│   ├── services
│   └── vpc
└── stage
    ├── data-stores
    │   └── mysql
    │       ├── main-vpgsg.tf
    │       ├── main.tf
    │       ├── outputs.tf
    │       ├── terraform.tfstate
    │       └── variables.tf
    └── services
        └── webserver-cluster
            ├── main.tf
            └── user-data.sh
  • 최상위 폴더

    • stage : 테스트 환경과 같은 사전 프로덕션 워크로드 workload 환경
    • prod : 사용자용 맵 같은 프로덕션 워크로드 환경
    • mgmt : 베스천 호스트(Bastion Host), 젠킨스(Jenkins) 와 같은 데브옵스 도구 환경
    • global : S3, IAM과 같이 모든 환경에서 사용되는 리소스를 배치
  • 각 환경별 구성 요소

    • vpc : 해당 환경을 위한 네트워크 토폴로지
    • services : 해당 환경에서 서비스되는 애플리케이션, 각 앱은 자체 폴더에 위치하여 다른 앱과 분리
    • data-storage : 해당 환경 별 데이터 저장소. 각 데이터 저장소 역시 자체 폴더에 위치하여 다른 데이터 저장소와 분리
  • 명명 규칙 naming conventions (예시)

    • variables.tf : 입력 변수
    • outputs.tf : 출력 변수
    • main-xxx.tf : 리소스 → 개별 테라폼 파일 규모가 커지면 특정 기능을 기준으로 별도 파일로 분리
      • E.g., main-iam.tf, main-s3.tf 등
      • 후에 배울 모듈 단위로 나눌 수 있습니다.
    • dependencies.tf : 데이터 소스
    • providers.tf : 공급자

상태관리 예제 (1)

이 문단에서는 ELB, ASG, 그리고 RDS가 구축된 환경을 만들고, 이에 대해 디렉토리 구조를 아래와 같이 작성하여 실습하도록 하겠습니다.

├── global
│   └── s3
│       ├── main.tf
│       └── outputs.tf
└── stage
    ├── data-stores
    │   └── mysql
    │       ├── main-vpgsg.tf
    │       ├── main.tf
    │       ├── outputs.tf
    │       └── variables.tf
    └── services
        └── webserver-cluster
            ├── main.tf
            └── user-data.sh

코드의 위치는 아래와 같습니다:

RDS 생성 도중 배울 요소

  • 리소스에 전달해야 되는 매개변수 중 패스워드 처럼 민감정보는 코드에 직접 평문 입력을 하는 대신 전달 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야 합니다. 방법은 아래와 같습니다.
    • 다양한 시크릿 저장소를 활용 E.g., AWS Secret Manager, AWS SSM Parameter GCP KMS 와 KMS Secrets Azure Key Vault 와 Vault Secret, etc.
      • 최소한의 일만 하는 계정을 만들기: 분리와 역할, 필요하면 추가
        • 스테이징: 스테이징 프로비저닝에 필요한 AWS 서비스 일부만 허용
        • 프로덕션: 상기 내용과 마찬가지(권한은 모두 막고, 필요한 단편적인 기능만을 허용하여 넓혀가는 것이 좋습니다.)
    • 테라폼 외부에서 환경 변수를 통해 시크릿 값을 테라폼에 전달 (테스트나 빠르게 개발할 때만 쓰고, 현업에선 절대 사용하지 맙시다!)
      • export TF_VAR_db_password="(YOUR_DB_PASSWORD)"
      • 혹은 direnv.envrc 파일에 상기 명령과 같은 환경변수를 넣어놓고 사용합니다.

웹 서버 클러스터 배포 중 배울 요소

웹 서버 클러스터를 배포하며 terraform_remote_state 라는 값과, 테라폼의 내장 함수(build-in function)에 대해 살펴봅시다.

  • 백엔드에 상태 파일(위에서 살펴본 RDS 정보)를 읽어서 웹 서버 클러스터 구성을 합니다. 이 때 변환 데이터는 읽기 전용입니다.
  • 모든 데이터베이스의 출력 변수는 상태 파일에 저장되며 아래와 같은 형식의 속성 참조를 이용해 terraform_remote_state 데이터 소스에서 읽을 수 있으며, 그 양식은 아래와 같습니다.
data.terraform_remote_state.<NAME>.outputs.<ATTRIBUTE>
  • E.g., terraform_remote_state 데이터 소스에서 데이터베이스 주소와 포트 정보를 가져와서 HTTP 응답에 정보를 노출
user_data = <<EOF
#!/bin/bash
echo "Hello, World" >> index.html
echo "${data.terraform_remote_state.db.outputs.address}" >> index.html
echo "${data.terraform_remote_state.db.outputs.port}" >> index.html
nohup busybox httpd -f -p ${var.server_port} &
EOF
  • 사용자 데이터 스크립트가 길어지면 인라인으로 정의가 복잡해집니다. 이럴 때는 관련 코드를 외부화하는 것이 코드의 복잡도를 떨어뜨리는 방법입니다. 테라폼의 내장 함수template_file 라는 데이터 소스를 사용해봅시다.
  • 테라폼에는 표현식을 사용하여 실행할 수 있는 여러 내장 함수(built-in functions)들이 있습니다. 함수 사용법은 아래와 같습니다.
function_name()
  • E.g., format 함수는 아래 처럼 사용합니다. 문자열 FMT의 sprintf 구문에 따라 ARGS 인수를 형식화하는 호출방식입니다.
format(<FMT>, <ARGS>, ...)
  • 내장 함수는 테라폼 콘솔을 실행 후, 대화형 콘솔을 사용해서 질의한 결과를 바로 확인하는 것으로 디버깅할 수 있습니다.
  • 테라폼 콘솔은 읽기 전용입니다. 실수로 인프라나 상태가 변경되지 않습니다. 안심하세요!
# 참고: 테라폼 콘솔 사용에 관하여
terraform console
> format("%.3f", 3.14159265359)
"3.142"
  • 그 외에도 테라폼에는 문자열, 숫자, 리스트, 맵 등을 조작하는 데 사용할 수 있는 많은 내장 함수가 존재합니다. 예시에서는 templatefile 함수를 살펴봅시다.
  • templatefile 함수는 PATH 에서 파일을 읽고 그 내용을 문자열로 반환합니다.
templatefile(<PATH>, <VARS>)
  • E.g., 스크립트 파일을 넣고 stage/services/webserver-cluster/user-data.sh 파일을 넣고 문자열로 내용을 읽을 수 있습니다.
#!/bin/bash

cat > index.html <<EOF
<h1>Hello, World</h1>
<p>DB address: ${db_address}</p>
<p>DB port: ${db_port}</p>
EOF

nohup busybox httpd -f -p ${server_port} &
  • 사용자 데이터 스크립트에 동적인 데이터는 참조와 보간을 활용. 아래는 ASG 코드 예시
  • templatefile 데이터 소스의 vars 맵에 있는 변수만 사용 가능
resource "aws_launch_configuration" "example" {
  image_id        = "ami-0fb653ca2d3203ac1"
  instance_type   = "t2.micro"
  security_groups = [aws_security_group.instance.id]

  # Render the User Data script as a template
  user_data = templatefile("user-data.sh", {
    server_port = var.server_port
    db_address  = data.terraform_remote_state.db.outputs.address
    db_port     = data.terraform_remote_state.db.outputs.port
  })

  # Required when using a launch configuration with an auto scaling group.
  lifecycle {
    create_before_destroy = true
  }
}

Lessons Learned

제 3장에서는 아래의 내용을 반드시 기억하셨으면 좋겠습니다.

  1. 테라폼 파일을 다수의 사람과 함께 관리할 때 상태관리는 선택이 아닌 필수입니다.
    1. 워크스페이스 설정을 수행합니다.
    2. 파일 레이아웃을 함께 잡아, 실수를 최대한으로 줄입시다.
  2. 민감정보는 시크릿 저장소와 같은 서비스를 활용합시다.
  3. 속성 참조와 내장함수를 통해, 코드반복을 대폭축소합시다.

Tips and tricks

  • 테라폼 코드도 컨벤션이 있습니다!
    • 테라폼 컨벤션에 대한 이해를 하고, lint 도 할 수 있다는 말이겠군요.
    • 그렇다면 pre-commit hook 도 당연히 있을겁니다.
    • 그렇다면 테스트에도 쓰일 수 있겠군요.

이것으로 제 3장을 마칩니다.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Published Nov 3, 2022

Non scholæ sed vitæ discimus.

his/hi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