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astAPI 앱으로 트랜잭션 스크립트부터 도메인 기반 기초적 설계의 재구조를 잡기까지의 여정을 설명합니다. 1부에서는 어떻게 바꾸었고 어떤 식의 1차 작업을 완료했는지를 되짚어봅니다
ReadPEP 시리즈 - PEP 333, PEP 3333 을 탐구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ASGI 구현체에 대해 살펴봅니다.
Read파이썬이 가지는 언어적 측면과 철학의 차이때문에 의도적으로 없습니다. 그렇다면 어떤 차이가 있고 어떤 개념 차이가 있는지 파악 후 왜 오버로딩이 없으며, 대체제는 무엇인지 살펴봅시다.
Read파이썬 컨테이너 최적화 기법을 이용하여 CPU bound 작업과 IO bound 작업을 직접 구동해봅니다.
Read